본문 바로가기
  • 버스로 떠나는 시골 여행

대중교통 이야기40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인한 4호선 시간표 및 오이도행 열차의 변화 ※ 이 글은 카카오의 다음 블로그의 중단 및 티스토리로의 이전 정책으로 인하여 옮겨온 것이다. 실제 작성일은 2020년 8월 29일이므로 2022년 9월 현재와는 차이가 존재하니, 필자가 이 글을 작성한 당시 예상한 것을 적었다고 생각하시길 바란다. 2020년 9월 12일.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그리고 좀 더 깊게 파헤쳐 본다면 현 정부 및 역대 정부들의 수도권 서남부 지역에 대한 푸대접을 엿볼 수 있는 사례 중 하나라고 할 수도 있을 수인선이 드디어 수원역까지 개통되어 운행을 하게 된다. 수인선 열차는 수원역에서 멈추지 않고, 분당선 구간을 따라 왕십리까지 올라가게 될 것이니만큼 노선명도 수인분당선으로 바뀌게 될 것이고 말이다. 이미 많은 분들이 글로 남긴 사실과 같이, 수인선 열차는 오이도역~한대.. 2022. 9. 2.
장기적으로 본 송산신도시에서의 경원여객과 제부여객 ※ 이 글은 카카오의 다음 블로그의 중단 및 티스토리로의 이전 정책으로 인하여 옮겨온 것이다. 실제 작성일은 2019년 1월 1일임을 밝혀둔다. 여태까지의 글들을 보면, 여러분들은 다음 사실들을 알 수 있었을 것이다. ㉠ 송산신도시에 들어오는 시내버스에 대한 문제점은, 사실 안산~화성 간 시내버스 문제라는 이 지역의 정말 오래된 떡밥과 연계가 되어있다. --> 당장 나무만 본다면 송산신도시의 노선버스에 관한 이야기겠지만, 송산신도시 버스편을 두고 벌이는 지자체(안산시, 화성시) 및 버스회사(경원여객, 제부여객)의 기싸움은 크게 보면 안산~화성 간 시내버스의 주도권을 누가 갖느냐 등의 문제를 두고 벌이는 싸움이다. 청일전쟁을 생각해본다면 이해가 갈 것이다(청나라와 일본이 전쟁을 한 게 왜였겠는가? 조선을 .. 2022. 9. 2.
송산신도시에 대해 필자가 예상했던 것, 2018년 12월 현재의 송산신도시(동측)에서의 세력판도 ※ 이 글은 카카오의 다음 블로그의 중단 및 티스토리로의 이전 정책으로 인하여 옮겨온 것이다. 실제 작성일은 2018년 12월 25일임을 밝혀둔다. 안산~화성 시내버스의 이해관계 당사자인 안산시와 경원여객, 그리고 화성시와 제부여객의 입장 및 상황 정리가 저번 글을 기해 끝이 났다. 근거가 꽤나 많고, 배경 설명도 필요한 문제였기 때문에 본의아니게 글이 길어진 감은 있다. 하지만 그것들 다 지금 쓰려는 이 글을 위해 그런 것이니 심심한 양해를 부탁드린다. 이 글을 읽다가 의문사항이 생긴다면 이전 글들을 참고해보면 될 것이다. 1. 필자가 송산신도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필자는 시승기들을 보면 알겠지만, 동네 구경하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다. 경기도 내 다른 동네들도 많이 다녔지만 필자의 고향인 시흥시부터.. 2022. 9. 2.
안산~화성 시내버스와 관련된 경원여객과 제부여객 각자의 상황 ※ 이 글은 카카오의 다음 블로그의 중단 및 티스토리로의 이전 정책으로 인하여 옮겨온 것이다. 실제 작성일은 2018년 12월 20일임을 밝혀둔다. 바로 저번 글에서는 안산~화성 시내버스라는 주제가 왜 오랜 떡밥이 될 수밖에 없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 도로망 및 지자체 간의 싸움 위주로 이야기를 풀어나갔고, 경원여객과 제부여객이라는 두 업체의 이야기는 최소한으로 간추렸다. 이렇게 한 이유는 두 버스회사의 상황까지 이야기하자면 글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이었다. 이번 글에서는 경원여객과 제부여객이라는 두 회사의 상황을 살펴보겠다. 1. 경원여객의 상황 경원여객은 안산을 연고로 하고 있는 매우 탄탄한 버스회사이며, 독점이니 뭐니 말이 많다지만 알고보면 상당히 괜찮은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노선 운영 및 관리.. 2022. 9. 2.
안산~화성 시내버스를 두고 벌인 두 지자체 간 기싸움이 오랫동안 계속되는 이유 ※ 이 글은 카카오의 다음 블로그의 중단 및 티스토리로의 이전 정책으로 인하여 옮겨온 것이다. 실제 작성일은 2018년 12월 18일임을 밝혀둔다. 느티나무다. 요즘은 시승을 나가기도 하고 시승기를 쓰기도 하고 있는 평범(?)한 상태다. 사실 마음같이 금방금방 올리지는 못 하고 있기에, 시승기를 매일매일 같은 속도로 일정하게 쓸 수 있으면 좋겠다는 소망도 있지만 말이다(밖에 싸돌아다니는 걸 선호하니, 집에 갇혀서 하루종일 시승기만 쓰는 것은... 휴;;;; 쉽지 않다. ㅋㅋㅋ). 사설은 이만하고 이번에는 안산시와 화성시 간의 버스 관련 기싸움에 대해 풀어보겠다. 2018년 12월 현재, 안산시와 화성시 간의 기싸움은 송산그린시티, 즉 화성시 새솔동 지역을 매개로 하여 다시 시작된 상태다. 여기서 필자가 .. 2022. 9. 2.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배차간격, 적당할까? ※ 이 글의 실제 작성일은 2018년 11월 12일이다. 2018년 6월 16일. 대다수의 교통동호인들의 관심에서 벗어난 지역, 그리고 별로 연관이 있지도 않을 지역에 새로운 철도노선이 개통되었다. 세상 사람들에게는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라고 알려져 있는 그 노선이다. 그리고 지금은 2018년 11월 12일. 어느덧 서해선이 개통된 지 5개월이 다 되어간다. 벌써 반 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이 서해선의 배차간격은 2018년 11월 현재도 20분. 다소 길다면 길다고 할 수도 있는 배차간격일 것이다. 실제로 이 노선을 이용해 본 사람들이 아쉬운 점으로 꼽는 것들 중 하나가 이 배차간격일 정도이며, 필자 또한 이 노선의 배차간격을 아쉬운 점으로 꼽고 있다. 비록 경춘선이나 경강선, 그리고 경의중앙선 덕소 .. 2022.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