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38 경원여객 61번의 운행여건이 좋지 않다고 한 이유 ※ 티스토리로의 이전으로 인해 작성날짜가 2022년 9월로 되어 있지만, 실제 이 글의 작성일자는 2014년 2월 24일임을 밝힌다. 필자가 썼던 안산시내버스 분석글에서 경원여객 61번은 운행여건이 안 좋다고 이야기를 했던 적이 있다. 61번은 사람들 많이 타는데 느티나무(大和, 야마토) 저 사람은 왜 운행여건이 안 좋다고 떠드는 것인가 의문을 가질 분들도 있을 것이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61번의 운행여건이 안 좋다고 한 이유는 차고지와 수요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61번은 수요 측면에선 사실 이용객 많지 인지도 빵빵하지, 특색도 있는 주요 노선이니 이런 데서는 흠잡을 데가 없다. 서해선 개통 이후에도 61번의 노선 경로와 소사원시선의 경로, 그리고 역 위치를 고려한다면 61번은 시흥시 중부 지.. 2022. 9. 1. 2020년 4월 25일 - 오산 10번 마을버스 시승기 석준형과 10번 마을버스를 타기로 하고 오산을 가는 날. 오산역에 내린 우리는 301번을 타고 원영화남아파트에 하차하여 도보를 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출발하니 10번이 출발하는 피오레아파트까지 생각보다 매우 가깝더군요. 슬렁슬렁 걸어 피오레아파트에 도착하니 오후 1시 44분이었고, 버스는 4분 정도 뒤에 바로 도착을 했습니다. 오후 1시 55분 출발이었기 때문에 곧 버스의 시동은 꺼졌고, 우리는 출발시간이 다 될 때까지 정류장에서 대기하다 승차하게 되었죠. 기사아저씨께서도 시동을 걸고 난 다음에는 카드 단말기를 만져 운행노선 세팅을 해야 하는 만큼, 기사아저씨에 대한 배려가 빛나는 순간입니다. [오산교통 10번][1350] 피오레아파트 1355 출발 - 힐스테이트후문앞,소리울도서관 1358 - 남부종합.. 2022. 9. 1. 2020년 4월 11일 - 감악산 출렁다리 방문기 2020년에도 어김없이 봄은 찾아왔고, 감악산 출렁다리를 방문하기 위해 소요산역을 향해 전철을 타고 가게 되었습니다. 석준형도 중간에서 합류를 하게 되었으며 우리는 무사히 소요산행 전철을 타고 오후 1시 34분에 소요산역에 내리게 되었죠. 감악산 출렁다리로 가려면 적성을 가야 했는데, 25번은 우한 폐렴으로 인한 승객 감소로 한 달 전에 운행이 중단되어 버렸고 25-1번과도 시간이 맞지 않아 전곡을 거쳐 적성으로 가기로 한 겁니다. 오후 1시 50분에 신북온천을 거쳐 포천까지 가는 57-1번을 목격한 후, 우리는 오후 2시가 다 되어갈 시간에서야 도착한 53번을 타고 전곡으로 향하게 됩니다. 오후 2시 20분에 적성으로 가는 091번이 있으므로 이번에 오는 버스를 타야 했지만, 소요산역에서 전곡은 15분.. 2022. 9. 1. 버스를 카드로 탈 때 알아야 하는 사소하지만 중요한 사항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가장 먼저 챙기게 되는 것이 무엇일까? 다름아닌 교통카드일 것이다. 현금보다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를 타는 경우가 훨씬 많아진 지가 매우 오래되었을 정도로 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있어 중요한 물건으로 자리잡혀 있다. 갖다 대기만 하면 요금 결제가 되므로 편리하지만 그만큼 이용 시 중요한 사항이 있는데, 이 글에서는 그것을 소개하고자 한다. 1. 버스에 올라 카드를 댔는데 "이미 처리되었습니다" 가 나온다. 가끔씩 버스를 타다보면, 요금을 내기 위해 카드를 단말기에 갖다 댔는데 "이미 처리되었습니다" 라는 소리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이전에 탔던 버스가 지금 타는 버스와 같은 차이면 발생한다(같은 노선번호가 아니다). 예를 들어, 이전에 탔던 버스 번호판이 "경기 7.. 2022. 8. 31. 2022년 2월 12일 - 쌍령과 주정동을 가본 안성 시내버스 여행기 이번에는 저 혼자 시승을 나가는 날. 우리의 미대생이자 마술사인 석준형은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집에서 쉬게 되었고(역시 세상에는 정말 개같은 인간들이 많은 게 현실이죠), 저는 이럴 때 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잔당 노선들을 타러 시승을 떠나게 됩니다. 이번에는 여주 대신 안성을 택하게 되었고, 언제나처럼 저는 전철을 타고 평택을 갔다가 오전 9시에 출발한 70번을 타고 안성으로 가게 되었죠. [백성운수 70번][환승] 평택터미널 0859 출발 - 구 공도정류장 0920 1호선 전철이나 무궁화호로 평택역을 왔다가 안성 가는 버스를 탄다. 이 루트는 중앙대 안성캠퍼스나 한경대, 동아방송예술대 등 안성에 학교가 있는 분들이라면 지겹게 이용해보았을텐데, 저도 맨날 이 경로로 안성을 가다보니 지겨울 지경입니다. 하.. 2022. 8. 31. 2022년 2월 5일 - 유왕골과 병천 오지노선들을 타게 된 천안 시내버스 등반기(Feat. 소름돋는 실화) 천안 버스 392번. 2020년 4월 1일 신설된 노선으로, 종합터미널을 출발하여 목천읍사무소 위쪽 산동네들 중 하나인 덕전3리 유왕골까지 가는 노선입니다. 어플 및 포털사이트 지도에서 이 노선의 운행경로를 살펴보면 정말 산 속 깊숙히 들어가는 만만찮은 포스를 느낄 수 있는데, 유왕골이 그동안 버스가 없던 동네임을 고려하면 주민들의 불편함이 얼마나 컸을지 짐작할 수가 있었죠. 석천리와 석지골, 양대리 등과 더불어 천안에서 고난도 노선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 유왕골 노선을 타보면서, 겸사겸사 병천 노선들도 공략한다는 개쩌는 계획을 석준형이 선보이게 되어 우리는 바로 실행 버튼을 누르게 됩니다. 병천 노선들도 존재는 알고 있었지만 현실적인 이유로 인해 그동안 입맛만 다시게 되었는데, 드디어 타보게 되네요. .. 2022. 8. 31. 이전 1 ··· 69 70 71 72 73 다음